지난해 6월 일반 공개를 시작한 산업유산정보센터. <br /> <br />개관 당시부터 군함도 강제 노동의 역사를 지운 것을 놓고 큰 논란이 일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어린이에 불과했던 지역 주민들의 일방적인 증언을 근거로 강제 노역이 없었다고 억지 주장을 편 겁니다. <br /> <br />[스즈키 후미오 / 군함도 주민 : 전쟁 중에 군함도에서 가혹한 일을 당했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.] <br /> <br />당초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담겠다던 전시관은 약속과는 크게 다른 왜곡된 역사의 선전장이 된 셈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외의 거센 비판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와 센터 측은 문제가 없다고 밝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가토 고코 / 산업유산정보센터장 (지난해 6월 인터뷰) : 전쟁 중에 하시마에서 살았던 사람들이 본 것, 느낀 것을 그대로 말해준 것 뿐이며 우리가 (증언을) 특별히 의도적으로 유도하거나 선동한 것은 아닙니다.] <br /> <br />눈 가리고 아웅 하는 일본의 행태에 대해 미군 참전용사들도 강하게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 유네스코에 보낸 서한에서 당시 조선인 등과 전쟁 포로에게 일본이 자행한 강제 노동 실태를 전시에 담도록 촉구한 겁니다. <br /> <br />유네스코는 이미 지난 2018년에도 일본에 약속을 충실히 지키고, 당사국과 대화하라고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 달 현장 조사에서 일본이 이런 권고를 지키지 않은 것을 확인하자 이례적으로 강도 높은 결정문을 내놓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[나가타 미츠노부 / 강제동원 진상규명 네트워크 사무국장 : (전시관을 운영하는) 산업유산국민회의는 아베 전 총리와 친구 사이인 가토 고코라는 인물이 중심입니다. 이 단체를 전시관 운영에서 손 떼게 해야 한다고 계속 주장했지만 (정부가) 그대로 방치했습니다.] <br /> <br />지금까지 세계유산 등록이 취소된 사례는 2건에 불과해 일본이 성실히 응하지 않더라도 취소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올림픽을 앞두고 약속을 지키라는 엄중한 경고장까지 받으면서 국제사회에서 일본은 다시 체면을 구기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이경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071308460999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